로스티슬라프 2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스티슬라프 2세는 류리크 왕조의 일원으로, 1203년 키예프 대공이 되었다. 그는 류리크 2세의 아들이자 벨리슬라바의 남편이었으며, 1189년경 벨고로드를 영토로 하고, 1190년경 토르체스크를 소유했다. 1195년에는 보흐슬라우, 트리폴리에, 코르순을 받았으며, 1198년경에는 비시호로드를 소유했다. 1203년 감옥에 갇혔으나 석방되어 키예프 대공이 되었지만, 이듬해 대공 자리에서 물러났다. 이후 비시호로드에서 야로슬라프 블라디미로비치를 추방하고, 1210년에는 갈리치에서 추방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214년 사망 - 윌리엄 1세 (스코틀랜드)
윌리엄 1세는 1165년부터 1214년까지 스코틀랜드를 통치한 국왕으로, 노섬브리아 백작령 회복 노력, 잉글랜드군 포로, 스코틀랜드 독립 회복, 교회 독립, 왕권 강화 등의 업적을 남기고 알렉산더 2세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 1214년 사망 - 다이라노 도쿠시
다이라노 도쿠시는 헤이안 시대 말 다이라노 기요모리의 딸이자 다카쿠라 천황의 중궁으로, 안토쿠 천황을 낳았으며 헤이시 정권 붕괴 후 출가하여 잣코인에서 은거하다 생을 마감했다. - 1173년 출생 - 신란
신란은 일본 가마쿠라 시대의 승려이자 정토진종의 개창자로, 아미타불의 본원에 의지하여 정토에 왕생하는 것을 강조하는 절대 타력의 사상을 설파했으며, 주요 저서로는 《교행신증》 등이 있다. - 1173년 출생 - 리 고종
리 고종은 베트남 리 왕조의 제7대 황제로,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잦은 천재지변, 농민 반란, 내란 등으로 국정을 혼란에 빠뜨려 리 왕조 쇠퇴를 가속화시켰다. - 스몰렌스크 로스티슬라프가 - 므스티슬라프 3세
므스티슬라프 3세 로마노비치는 키예프 대공국의 대공(1212년 ~ 1223년)으로, 키예프 대공이 되기 전 여러 공작을 역임하며 정치적 경험을 쌓았으나, 1223년 칼카 강 전투에서 몽골 제국 군에게 패배하여 포로로 잡혀 처형당했다. - 스몰렌스크 로스티슬라프가 - 블라디미르 4세
블라디미르 4세는 13세기 초 키예프 대공국의 대공으로, 1223년 므스티슬라프 3세 사후 대공이 되어 갈리치 공국 분쟁에 관여하다 1239년 몽골 제국 침공 때 사망했다.
로스티슬라프 2세 | |
---|---|
기본 정보 | |
인명 | 로스티슬라프 2세 |
러시아어 표기 | Ростисла́в Рю́рикович |
신상 정보 | |
출생일 | 1172년 |
사망일 | 1218년 이후 |
아버지 | リューリク |
어머니 | 안나 유리예브나 |
배우자 | 벨프슬라바 프세볼로도브나 |
자녀 | 에브프로시니야 |
정치 경력 | |
군주 칭호 | 키예프 대공 |
재위 기간 | 1204년 - 1205년 |
이전 군주 | 로만 므스티슬라비치 |
다음 군주 | 프세볼로트 4세 |
2. 가계 및 가족
류리크 2세의 아들이었다. 1188년 6월 30일, 프세볼로트 3세의 딸인 벨리슬라바와 결혼했다. 슬하에 에브로시니야라는 딸이 있었다.
로스티슬라프 2세는 키예프 대공 외에도 여러 지역을 통치했다. 1189년경 빌로호로드카를 영토로 했고, 1190년경에는 토르체스크를 소유했으며, 포로베츠족과의 전투에서 승리하기도 했다. 1195년에는 장인 세볼로트 3세에게서 보흐슬라우, 트리필리아, 코르순을 받았다.
3. 생애 및 통치
1203년 로만에 의해 아버지 류리크가 수도원으로 보내졌을 때 감옥에 갇히기도 했으나, 장인 세볼로트 3세의 요구로 석방되어 키예프 대공 자리에 올랐다. 1206년에는 야로슬라프 블라디미로비치를 비시호로드에서 추방했으며, 1210년에는 갈리치에서 추방되었다.
3. 1. 초기 활동
『라브렌티 연대기』에는 1189년경 빌로호로드카를 영토로 했다는 기록이 있다. 『이파티예프 연대기』에는 1190년경 토르체스크 (포로시에의 중심 도시. 현재는 존재하지 않음.)를 소유했다는 기록이 있다. 같은 시기 포로베츠족과의 전투에서 승리했지만, 확정적인 승리는 1193년으로 여겨진다.
3. 2. 키예프 대공 즉위
1195년, 장인 세볼로트 3세에게서 보흐슬라우, 트리필리아, 코르순을 받았다. 1198년경 비슈호로드를 소유했다.
1203년, 로만이 아버지 류리크를 삭발하여 수도원으로 보내자, 로스티슬라프는 감옥에 갇혔다. 그러나 장인 세볼로트 3세의 요구로 로만은 로스티슬라프를 석방하고 키예프 대공 자리에 앉혔다. 로스티슬라프는 이듬해까지 대공 자리에 있었다.
3. 3. 이후 활동
1203년, 로만에 의해 아버지 류리크가 삭발당해 수도원으로 보내졌을 때, 로스티슬라프는 감옥에 갇혔다. 그러나 아내의 아버지 세볼로트가 석방을 요구했기 때문에 로만은 로스티슬라프를 석방하고, 더욱이 키예프 대공의 자리에 앉혔다. 로스티슬라프는 이듬해까지 대공의 자리에 있었다.
1206년 로스티슬라프가 야로슬라프 블라디미로비치를 비시호로드에서 추방했다는 기록이 『라브렌티 연대기』에 있다. 1210년 백발이 된 로스티슬라프가 갈리치에서 추방되었다는 기록도 있다.
4. 평가
로스티슬라프 2세는 복잡한 정치적 상황 속에서 여러 지역을 통치하며 자신의 세력을 유지하려고 노력했다. 특히, 킵차크족과의 전투에서 승리하고, 키예프 대공 자리에 오르는 등 주목할 만한 업적을 남겼다. 그러나 잦은 권력 다툼과 영토 변화는 그의 통치가 불안정했음을 보여준다.
참조
[1]
서적
Енциклопедія українознавства : Словникова частина : [в 11 т.]
Молоде життя
1955-1995
[2]
웹사이트
Додаток 1. Державні утворення на українських і суміжних з ними землях та їхні правителі XIII — першої половини XVII ст.
http://litopys.org.u[...]
[3]
웹사이트
М. Грушевский по Воскресенской летописи
http://litopys.org.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